본문 바로가기
Coding/Python

데이터 과학을 위한 파이썬 프로그래밍 연습문제 Chap2

※ 직접 푼 거라 틀릴 수도 있음. (python3 기준으로 쓰여짐)

 

 

1. 다음 코드의 실행 결과를 쓰시오.

>>> a = 777
>>> b = 777
>>> print(a == b, a is b)

➡︎ True False

: == 연산자는 값(value)이 같으면 참, is 연산자는 같은 주소(reference)를 가리켜야 참. b = a일 때 a is b 는 참일 수 있다. 

 

 

 

2. 다음 중 변수를 메모리에서 삭제하기 위해 사용하는 명령어는?

⭕️ 1) del : 예약어. del (삭제할것) // del쓰고 하나 띄고 삭제할 값을 입력.

2) delete : 해당 명령어는 없음. 

3) remove : remove() 함수. 설정값과 같은 요소를 검색하고 가장 앞에 있는 것 하나만 삭제.

4) pop : pop() 함수. 리스트의 인덱스에 있는 요소를 삭제하고 그 요소를 반환한다. 

5) clear : clear() 함수. 리스트에 저장된 모든 요소를 삭제한다. 

➡︎ 2,3,4,5는 함수로 점연산자를 이용.

 

 

 

3. 빈칸에 들어갈 각각의 코드 실행 결과를 쓰시오.

(가) 12.25

(나) 0.0

(다) 1.75

(라) 0.0 

➡︎ 0이 나오더라도 정수형인지 실수형인지 신경쓰자뵤

 

 

 

4. 입력받은 섭씨온도를 화씨온도로 변환하는 프로그램을 코딩하려고 한다. 코드 순서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?

(1) fah  = ((9 / 5) * cel) + 32
(2) cel = input("섭씨온도 입력 : ")
(3) print("섭씨온도 : ", cel, "화씨온도 : ", fah)
(4) cel = float(input("섭씨온도 입력 : "))

➡︎ (4) - (1) - (3)

2번 문항은 변수cel에 그 값이 문자형으로 입력되므로 안된다.

 

 

 

5. 다음 변수의 a의 자료형은?

a = "True"

➡︎ 문자형

따옴표로 감싸진 것은 문자형이다. 

 

 

 

6. 다음과 같은 코드 작성 시, 실행 결과로 알맞게 짝지어진 것은?

➡︎

 

 

 

7. box = "apple"의 뜻은?

➡︎ box 변수에 apple값을 넣어라.

 

 

 

8. 다음과 같이 코드를 작성했을 때, 실행 결과로 알맞은 것은?

➡︎ 3.53.53.53.5

: 둘의 자료형이 일치하지 않아서 error뜰 줄 알았는데

문자형에 숫자를 곱하니 그 수만큼 문자형이 반복되어 출력되는구나.

 

 

 

9. a = "3.5", b = "1.5"일 때, print(a + b)의 실행결과는?

➡︎ 3.51.5

: 문자형의 덧셈은 concatenate가 일어난다.

 

 

 

10. 다음과 같이 코드를 작성했을 때, 실행 결과로 알맞은 것은?

➡︎ 27.0

: print( 3.0 ** 3 ) => (3.0)³ = 27.0

 

 

 

11. 변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
3) 변수에 할당된 값은 하드디스크에 저장된다. (하드디스크는 비휘발성 메모리)

➡︎ 일반적으로 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다. 

 

 

 

12. 다음과 같이 코드를 작성했을 때, 실행 결과로 알맞은 것은?

➡︎ TypeError

: a / b 가 둘 다 문자형이기 때문에 성립되지 않는다.

 

 

 

13. 다음 코드의 실행 결과가 나오도록 빈칸에 코드를 추가하시오.

➡︎ c -= 150

처음에는 나누기 일줄 알았는데 그러면 c가 실수형이 되므로 빼기가 맞는 것 같다.

 

 

 

14. 동적 타이핑의 의미를 설명하고, 파이썬 코드로 예시를 제시하시오.

➡︎ 의미 : 변수의 메모리 공간을 확보하는 행위가 실행 시점에서 발생하는 것.

예시 : 아래 코드와 같이 같은 변수 b여도 어떤 값을 넣어 실행하느냐에 따라 자료형이 바뀌어 메모리 할당 공간이 바뀐다. 

 

 

 

15. 다음 코드의 예상되는 실행 결과를 쓰시오.

(가) 1.01.01.01.01.0 : 문자형에 곱하기 가능

(나) TypeError : 문자형에 더하기 불가능

(다) HanbitPython : 문자형끼리 더하면 concatenate

(라) 3.50.5

 

 

16. 변수명을 지을 때 권장하는 규칙 중 틀린 것은?

➡︎ 2) 변수명은 의미있는 단어로 쓰는 것을 권장하며, 한글도 사용할 수 있다

 

 

 

17. 파이썬에서 반올림 오차가 나타나는 이유에 대해 설명하시오.

➡︎ 실수형과 정수형 사이에 변환이 일어날 때 반올림이 아닌 내림이 일어나기 때문이다. 

 

 

참고하시옹

https://continuedeve.tistory.com/38

 

Python 변수, 자료형

✔️ 변수 - 프로그래밍에서의 변수 = 수학적 의미인 '변할 수 있는 수'에 '어떠한 값을 저장하는 장소'의 의미가 더해진다. - 메모리 = 변수에 저장되는 값의 물리적 장소. 변수의 저장 위치를 메

continuedeve.tistory.com